em rem차이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css 사이즈 태그 em, rem, vh, vw, vmin, vmax 완벽 정리 css 작성할 때 종종 em rem까지는 작성할 때도 있긴 한데, 보통은 귀찮아서 반응형일 때는 %에 의존하고 그 외에는 그냥 대부분 px처리 해버리곤 한다.. 하지만 폰트나 블록 영역 크기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요 요소들을 적절히 사용해주면 보다 간단하면서도 깔끔한 코딩이 완성되므로, 숙지할 필요가 있다. 꼭 암기해서 다음 플젝 때는 요 요소들을 활용해 보자! (는 의미에서 작성한 포스팅..) 1. em : 부모 사이즈에서 곱한 사이즈 div {font-size: 14px} p {font-size: 1.2em} 일 경우, p의 사이즈는 14*1.2 = 16.8px 이 된다. 2. rem: 부모가 아닌 최상위 태그에서 곱한 사이즈 em을 사용하다보면 점점 사이즈가 커져버려서 제어가 힘든 상황이 온다. 이.. 이전 1 다음